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한국사] 06.조선 왕조의 설립 - 조선 왕조의 출발과 이념적 배경

by reptitaccum 2023. 10. 16.

한국사의 여섯번째 게시글입니다.

한국사 중 조선 왕조의  설립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사-조선 왕조의 설립

조선왕조의 출발

조선 왕조는 14세기 초반, 1392년에 건국되었습니다. 이성계(태조)가 조선을 건국하고 왕위에 오르면서 기존의 고려 시대 관료와 문신을 대부분 배제하고, 새로운 관료 집단을 형성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조선왕조의 출발이 이루어졌습니다.

 

신진사대부와 관계

신진사대부는 "신진"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새로운 엘리트 지식인과 관료 집단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들은 조선 왕조의 초기에 기존의 권문세족이나 고려 시대의 관료와 구별되는 새로운 세력으로 등장했습니다.

  1. 관료제도 개편: 조선 왕조는 신진사대부에게 기회를 주고, 기존의 문신이나 권문세족을 제한하는 정책을 펼쳤습니다. 이를 통해 관료제도를 개편하고, 뇌자제라는 제도를 시행하여 비윤(庇蘊)과 비송(庇送)을 제한하였습니다. 이렇게 신진사대부에게 행정, 군사, 재정, 사법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회를 주었습니다.
  2. 성리학과 시대정신: 신진사대부는 성리학의 이념을 채택하고 조선의 국가 이념으로 받아들였습니다. 이는 공정한 사회질서와 국가 안정을 추구하였으며, 정치적 윤리와 윤리적 통치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3. 학문과 교육: 신진사대부는 교육을 중시하였으며, 훈구술학(訓語術學)이라는 교육 방법을 제정하였습니다. 이는 훈민정음의 편찬과 함께 대중교육을 촉진하는데 이바지했습니다.

신진사대부의 등장과 관련 정책은 조선 왕조의 초창기 안정과 중앙집권적인 통치 체계를 강화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으며, 조선의 정치와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성계(李成桂): 이성계는 조선왕조의 건국자로, 태조라는 뒷이름으로도 불립니다. 이성계는 고려 말기에 몽골의 침공과 관련된 정치적 혼란을 겪은 뒤, 1392년에 조선을 건국하였습니다. 그는 중앙집권적인 국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조선왕조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인물 중 하나였습니다.

 

변방과 군수집권

조선은 태조와 그의 후손들이 변방 지역에서의 중앙집권적인 통치를 강화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국가의 안정과 군수집권을 통해 지방 지배를 강화하고 중앙 통치 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1. 뇌자제(厲吏政策): 조선 왕조의 초기에는 권문세족과의 국가 내 분쟁이 심화되었습니다. 이에 태조는 국가 안정을 위해 관료제도를 개혁하고 뇌자제를 시행하였습니다. 이 정책은 비윤(庇蘊)과 비송(庇送)을 제한하고 성과 미명에 따라 관료를 임명하도록 했습니다.
  2. 성리학(性理學): 조선 초기의 정치 철학은 성리학에 크게 영향을 받았습니다. 성리학은 고려시대의 노자주의에서 비롯되었으며, 조선 왕조의 국가 이념과 윤리 철학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3. 훈구술학(訓語術學): 조선시대에는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훈구술학은 교육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여겨졌습니다. 국가에서는 학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고려의 고려왕조와 조선 초기의 경기도에서는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훈구술학을 확대하였습니다.

조선 왕조의 이념적 배경

네오-공자주의, 특히 유학과 유교 사상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조선 왕조는 1392년부터 1910년까지 대한민국의 전신인 조선국을 통치한 왕조였으며, 이 시기 동안 네오-공자주의가 통치 철학으로 채택되었습니다.

조선왕조의 이념적 기반은 주로 중국의 유학자인 이황(李滉)과 퇴계 이황(退溪 李滉) 등의 유학자가 발전시켰습니다. 이들 유학자들은 고전인 중국의 유학 서적인 '서경(四經)'과 '서서(四書)'를 중요하게 다루었으며, 그 가르침은 조선 국민에게 교육되고 신분제도, 행정 체계, 윤리, 도덕, 사회질서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조선왕조의 주요 이념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유교와 유학: 조선왕조는 유교 사상을 중요하게 받아들였으며, 특히 유학(네오-공자주의)을 강조했습니다. 이를 통해 통치자들과 국민 간의 도덕적 행동과 정직함을 중요시했습니다.
  2. 중풍(忠風): 이 또한 조선왕조의 중요한 이념 중 하나로, 충성과 정직함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왕실과 국가에 대한 충성을 강조하여 사회 안정을 유지하고자 했습니다.
  3. 본질주의: 조선왕조는 본질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유교의 기본 가치를 중심으로 사회를 조직했습니다. 이는 윤리적 교육과 도덕성을 강조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4. 시험제도(科擧制度): 조선왕조는 공무원 선발 시스템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과거의 업적과 덕을 기준으로 관리를 선발하는 시험제도를 운영했습니다.

조선 왕조의 이념적 배경은 유교와 유학을 중심으로 하며, 윤리, 도덕, 충성, 그리고 정직함을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가치와 철학은 조선 시대의 사회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중앙집권적인 통치 체계와 새로운 국가 이념을 갖춘 결과로 이루어진 기반은 조선 왕조가 500년 이상에 걸쳐 한반도를 지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